이용후기
해외호텔
해외자유여행
허니문여행
국내숙박
내륙여행
제주여행
국내 지역별 여행정보
자연관광지
테마거리
음식점
숙박시설
쇼핑시설
유원지
문화재
문화시설
지역축제정보
모두보기
도/특별시
시/구/지역
총
5429
건의 여행정보가 있습니다.
[ 유적지 ]
강화 역사관에는 진품이 있다
(인천시 강화군)
강화역사관은 1988년 9월 개관하고, 2001년 4월 새로 전시실 내부를 정리하였다. 역사관은 4개의 전시실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 개국의 성역인 강화도의 문화유산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역사관 옥외 전시장에는 갑곶돈대, 이섭정, 홍이포, 탱자나무, 비석군, 해선망어선 등이 전시되어 있다. 목, 금, 토, 일 4일간은 문화유산해설사가 설명을 해..
[ 서원 ]
강화향교
(인천시 강화군)
향교는 지방에 있는 문묘와 거기에 부속된 학교이다. 교궁(校宮) 또는 재궁(齋宮)이라고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으나 교육기능은 사라지고 지금은 대부분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다. 강화여자 고등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먼저 강화향교가 보인다. 향교와 여학교는 무슨 관계가 있었기에 대문을 같이 쓰..
[ 휴양림 숲 ]
천혜의 자연숲 '비자림'
(제주도 북제주군)
찾아가는 길이 쉽지는 않은 시골속에 있는 숲이지만 일단 한번 이 곳에 도착해서 걷다보면 점점 신비속으로 빨려들어 시간이 흐름이 천년전으로 돌아가는 듯 세상을 잊게 해준다. 북제주군 구좌읍 평대리에서 서남쪽으로 5.5km지점에 비자나무 2,870여그루가 광대한 면적에 집단적으로 자생하고 있는 이곳 榧子林은 제주도의 보물로서 1966년 10월 12일에 천..
[ 산 ]
태기산
(강원도 평창군)
태기산은 평창군 봉평면과 횡성군 청일면,둔내면이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일명 덕고산이라고 불리워 지던 태기산은 삼한시대 말기 진한의 마지막 왕인 태기왕(泰岐王)이 신라군에게 쫓기어 이 곳에 태기산성(1.8km)을 쌓고 군사를 길러 신라와 싸웠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태기산 자락인 성골 골짜기에는 허물어진 성벽을 비롯해 집터와 샘터 등이 수림..
[ 미술관 ]
제비울미술관
(경기도 과천시)
구불구불 좁은 길을 따라 들어가면, 동양식 건물과 서양식 작품들이 어울리지 않을 것 같지만 제비울 미술관은 하나의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내듯 한 폭의 그림 같은 작품처럼 도로 한 켠에 자리하고 있다. 전시실 앞 넓직한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들어서면 왼쪽으로 전시실 건물과 오른쪽으로는 아담한 잔디밭의 정원이 있다. 올라가는 길 주위는 돌탑, 토피어리 작..
[ 거리/마을 ]
동성로거리
(대구시 중구)
서울의 명동과 같은 대구 동성로 거리, 대구백화점을 중심으로 각종 상점과 먹거리, 노점상 영화, 시민휴식터인 작은 분수대, 관광센터등이 자리잡고 있는 대구의 얼굴이다. 이곳에 오면 대구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을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구사람 특유의 높은톤으로 얘기하는 구수한 경상도 방언의 억양을 들을 수 있다. 특히 대구말에는 유난..
[ 쇼핑거리 ]
휴대폰 거리
(대구시 중구)
대구백화점에서 동아양봉원쪽으로 오면 약 100미터 거리 양방향 모두가 핸드폰 상점들만 즐비해 있다. 누가 이곳에 핸드폰 거리를 만들자고 해서 만든것도 아닌데 이곳에 이렇게 많은 핸드폰 상점들이 들어서기 시작한 것은 핸드폰이 이제 우리에게는 필수품이 되기 시작하면서 부터라고 한다. 하나둘씩 들어서기 시작한 핸드폰 상점들은 마치 용산의 핸드폰밀집 지역처럼..
[ 호수 ]
성당못
(대구시 달서구)
대구에는 옛부터 못이 많았다. 그래서 못을 메워 시장을 세우거나 대단위 아파트를 건설하는등 꾸준한 개발을 해오고 있다. 이 성당못은 두류공원 안에 위치해 있는데 두류공원이 너무나 넓고, 광대하다 보니 성당못만을 따로 소개하고자 한다. 성당못은 대구시 달서구 성당동에 위치해 있는데 옛날에는 성댕이, 상댕이 라고 불리다가 1910년부터 성당동이라고 ..
[ 유원지 ]
대구의 자긍심 국채보상운동기념 공원
(대구시 중구)
대구시 중구 중앙도서관옆에 자리잡은 이곳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대구시민의 자긍심의 상징이기도 하다. 국채보상운동이란 일제침략기에 일제가 억지를 부려 만든 부채를 우리 힘으로 갚아서 일제로 부터 국권을 회복하자는 운동이었는데 이곳 대구에서 먼저 시작되어 대구 시민이라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는 거국적인 역사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국채보상운동..
[ 능/묘소 ]
삼국통일에 이바지한 김유신장군의 묘
(경상북도 경주시)
필자의 집이 김유신장군묘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가본 횟수로 따지면 엄청나다. 자전거코스로도 좋고, 바이크를 타고 외길을 따라 가는 기분이 말로 표현이 안되기 때문이다. 취재를 하러 갔을때 하필이면 경주시 예비군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예비군훈련인데, 김유신장군묘를 지키는 임무라고 하였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이지만, 지리적으로 전..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자주묻는질문
질문과답변
전화/결제
공지사항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