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후기
해외호텔
해외자유여행
허니문여행
국내숙박
내륙여행
제주여행
국내 지역별 여행정보
자연관광지
테마거리
음식점
숙박시설
쇼핑시설
유원지
문화재
문화시설
지역축제정보
모두보기
도/특별시
시/구/지역
총
5429
건의 여행정보가 있습니다.
[ 거리/마을 ]
춘향테마파크
(전라북도 남원시)
춘향테마파크(영화 “춘향뎐” 의 무대) 남원시 어현동 남원관광지내에 소재한 곳(3만 5천평 규모)으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춘향뎐”의 촬영장소를 포함하여 사랑의 테마가 있는 관광지로 조성한 곳이다. “춘향뎐”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속에 담아내 과거의 사랑과 이제 사랑을 시작하는 이들이 사랑의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조..
[ 바다 ]
동막 해수욕장, 동막 갯벌
(인천시 강화군)
강화군 화도면 동막 해수욕장은 마니산을 등지고 강화 최남단에 있다. 폭 10m, 길이 200m의 넓은 백사장과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편안히 쉬다 갈수 있는 곳이다. 밀물 때는 해수욕장, 썰물 때는 갯벌이 되는데 자세히 보면 조그만 조개, 게 등이 살고 있는 것을 볼수 있다. 특히 갯벌에서만 사는 염생식물이 빨간 빛으로 갯벌을 물들여 놓..
[ 섬 ]
천혜의 자연섬 '비양도'
(제주도 북제주군)
제주의 아름다운 섬들이 많지만 비양도는 또다른 아름다운 섬이다. 제주도 동쪽의 성산포 앞바다에 우도가 있고 서귀포앞바다에는 문섬,섭섬이 있고 서쪽의 한림항 앞바다에는 비양도가 떠 있다. 협재해수욕장에서 바라다 보이는 아름다운 섬이 바로 비양도이다 손에 잡힐 듯 가까운 섬이다. 거리상으로 1.5킬로앞바다에 있다 섬으로 들어가기 위한 도선은 한림항..
[ 유적지 ]
중앙동도요지
(경기도 과천시)
과천지역의 도요지에 관한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 에 기록된 것이 유일한 것인데 1500년대 초에는 폐요(도자기를 생산하지 않게 된 것) 되었 것으로 보인다. 도요지들은 용운암 우쪽에 두 곳(분청사기), 사기막골(백자), 막계동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과천지역 여러 곳에 산재한 백토광(백토를 캐는 광산)의 흙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만드는 것으로 생각된..
[ 유적지 ]
막계동도요지
(경기도 과천시)
과천지역의 도요지에 관한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 에 기록된 것이 유일한 것인데 1500년대 초에는 폐요(도자기를 생산하지 않게 된 것) 되었 것으로 보인다. 도요지들은 용운암 우쪽에 두 곳(분청사기), 사기막골(백자), 막계동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과천지역 여러 곳에 산재한 백토광(백토를 캐는 광산)의 흙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만드는 것으로 생각된..
[ 유적지 ]
운봉석장승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 운봉읍사무소 옆 당산에 한 쌍의 돌로 만든 장승이 있다. 어느 때 세워진 것인지 연대는 미상으로 둘 다 눈이 불거지고 코가 뭉뚱그려져 있고 치아를 드러내 보이고 턱밑에 수염을 조각한 것이 특색이다. 이 석장주에 공을 드리면 아이를 못난 여자가 생남, 생녀학 되고 이 고을의 모든 재난과 천재지변을 막아준다는 신앙의 대상물로 예로부터 운봉을 잡귀..
[ 축제 ]
제24회 제주감귤축제
(제주도 서귀포시)
올해는 유난히 햇살이 따사로와서인지 제주도 노지감귤이 지난해와 달리 맛있게 느껴진다. 몇 년 전부터인가 과잉생산으로 수확도 못하고 버려지는 감귤과수원이 생기기도 했는데 올 초부터 감귤수확량을 줄이면서 그나마 생산량이 다소 조정이 되어가고 있고 맛도 있어 소비가 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매년 12월이면 감귤을 수확하기에 무척이나 바쁜 시기이지만 또한 제..
[ 축제 ]
2004 최남단 모슬포 방어축제
(제주도 남제주군)
최남단 모슬포는 국내 최대 방어 생산지이자 거센 물살과 청정한 마라도 연안 방어의 상품가치가 제일 높은 곳이라고 한다. 10년전만 하더라도 서울 등 대도시 어시장의 방어는 대부분 모슬포 방어였으며, 아주 고급 어종으로 취급되어 이곳 어업인들의 주된 어획 대상이었다. 그러나 점차 수입 수산물의 급증에 따른 계속적인 판매 부진 및 가격하락으로 어민들의 ..
[ 계곡 ]
화양동계곡
(충청북도 괴산시)
청천면 화양리에 위치한 계곡으로, 청천면 소재지로부터 송면리 방향 9km지점에서 3km에 걸쳐 화양천을 거슬러 올라가며 좌우에 산재해 있는 명승지이다. 넓게 펼쳐진 반석위로 맑은 물이 흐르고, 주변의 울창한 숲이 장관을 이룬다. 인조~숙종왕때 좌의정을 지낸 대학자 우암 송시열이 산수를 사랑하여 은거한 곳으로 그와 관련된 유적이 많으며, 산자수려한 구..
[ 사적지 ]
영재 이건창 생가, 이건창 묘
(인천시 강화군)
강화 전등사에서 꼬불꼬불 2차선 도로를 따라 함허동천, 동막 해수욕장 쪽으로 가다보면 사기리 탱자나무와 이건창 생가가 길을 사이에 두고 마주자리하고 있는 곳이 보인다. 차도에서 조금 들어가 자리를 잡은 이건창생가는 자그마한 전통 한옥 초가집이다. 커다란 향나무를 정원수 삼아 집 앞마당을 주차장으로 쓰며 마당 한쪽에 이건창 문학비가 서있다. 생가 뒷담..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자주묻는질문
질문과답변
전화/결제
공지사항
닫기